결혼 준비 시기별로 체크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정리해두면, 결혼 준비 과정이 한결 수월해질 거라 생각해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리 해 봅니다.
상견례 시기 결정하기
상견례는 결혼을 앞두고 양가 부모님이 처음 만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상견례의 시기는 집안마다 다르므로, 미리 스케줄을 체크하고 조율하는 것이 중요해요. 결혼 준비를 시작하기 전 상견례를 하거나, 결혼 준비 중에 상견례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니, 두 집안의 일정을 잘 고려하세요.
Tip: 상견례 장소와 분위기도 미리 상의해보세요. 식사를 겸한 편안한 자리로 많이 진행합니다.
택일 유무 확인하기
신랑 신부님 집안에서 택일을 받아야 하는지 미리 확인하세요. 종교나 전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집안에서는 택일을 필수로 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렇지 않다면 두 사람의 스케줄에 맞춰서 예식일을 정할 수도 있습니다.
Tip: 택일 여부는 양가와 충분히 상의하여 조율하세요!
1년~1년 3개월 전: 웨딩홀 결정하기
예식일이 대략 정해졌다면, 1년에서 1년 3개월 전에 웨딩홀을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 예약해야 다양한 옵션을 꼼꼼하게 살펴볼 수 있어요.
- 하객 리스트 정리: 양가 하객 인원 기준으로 웨딩홀의 규모를 정하세요. (100명 이하, 200
250명, 300350명, 400명 이상) - 예산대 정하기: 식대 기준으로 평균 4
5만원, 68만원, 10만원 이상으로 정해보세요. - 지역 정하기: 고향, 직장 근처, 본가 근처, 중간지역 등 중요한 요소를 고려하세요.
- 스타일 정하기: 호텔, 야외, 컨벤션, 채플, 한식코스, 뷔페 등 다양한 스타일을 확인하세요.
Tip: 미리 가보고 싶은 웨딩홀 리스트를 작성한 후, 양가 부모님과 함께 방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6개월~1년 전: 웨딩촬영 결정하기
웨딩 촬영 여부를 먼저 결정해야 합니다. 웨딩 촬영을 선택했다면, 촬영 스튜디오와 드레스, 헤어 메이크업, 예식 스냅 촬영 및 DVD 촬영 등을 미리 정해두세요. 스케줄이 마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최소 6개월 전에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웨딩촬영 유: 스튜디오, 드레스, 헤어 메이크업, 예식 스냅, DVD까지 예산과 스타일을 상의하세요.
- 웨딩촬영 무: 드레스, 헤어 메이크업, 예식 스냅, DVD만 준비해도 충분합니다.
Tip: 인스타그램이나 어플을 통해 원하는 촬영 스타일을 캡쳐하고, 셀프 견적을 내보거나 1:1 문의를 통해 상담받으세요.
신혼여행 준비하기
신혼여행은 보통 예식 준비와 함께 진행되지만, 코로나로 인해 해외여행이 어렵다면 국내로 눈을 돌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해외로 갈 경우 여행지의 입국 제한 사항도 꼭 체크하세요.
Tip: 국내 신혼여행지로 제주도, 부산, 여수, 강릉 등이 인기입니다.
촬영 또는 예식 2~3개월 전: 예복/예물/한복 준비
맞춤 제작을 원한다면 최소 1개월 이상의 제작 기간이 필요하니,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게 아니면 너무 서두를 필요는 없지만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이 안 하는 것 보다는 좋아요.
Tip: 혼주 의상도 함께 준비하면서 부모님과의 의견을 잘 조율하세요.
혼주 메이크업 및 의상 준비
양가 어르신들의 메이크업과 의상도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혼주 메이크업은 샵 방문, 출장 메이크업, 홀에서 진행 여부 등을 체크하고, 의상도 맞춤 혹은 대여 여부를 결정하세요.
Tip: 어르신들의 의견을 먼저 여쭙고 선택하세요.
예식 3개월 전: 청첩장 제작
청첩장은 평균 10일 정도의 제작 기간이 소요됩니다. 미리 제작 후 지인들과 약속을 정해 청첩장을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청첩장 전달은 2달 정도의 기간을 두고 진행합니다.
Tip: 직접 전달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해 온라인 청첩장도 준비해보세요.
예식 2~3개월 전: 주례/사회자/축가/웨딩카 준비
지인에게 부탁할 계획이라면 미리 스케줄을 맞춰두세요. 선물이나 감사 인사를 준비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Tip: 주례와 사회자를 정하는 과정에서 신랑 신부의 이미지에 맞는 분을 선택하세요.
예식 2~3주 전: 부케 준비
부케는 예식 당일 제작 가능 여부가 중요합니다. 너무 미리 준비하면 꽃 수급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으니, 2~3주 전에 주문하세요.
Tip: 부케를 직접 만들고 싶다면 꽃집과 함께 제작 일정을 조율하세요.
복귀일에 맞춘 답례품 준비
결혼식 후 직장 복귀 시기에 맞춰 감사의 마음을 담은 답례품을 준비해 두세요. 답례품은 실용적이면서도 감사의 마음이 전달될 수 있는 품목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여기까지 결혼 준비의 모든 과정을 시기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꼼꼼히 준비한다면 예식 당일에는 걱정 없이 행복한 결혼식을 즐길 수 있을 거예요. 😊
Tip: 결혼 준비는 둘만의 스케줄 뿐 아니라, 양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미리미리 준비하여 잊지 못할 특별한 날을 만들어보세요!